반응형
ch7-42 내부 클래스 (inner class)
객체를 만들어야 쓸 수 있는데
내부 클래스에서는 객체 생성 없이도 A의 멤버 접근이 가능하다.
class AAA {
int i = 100;
BBB b = new BBB();
class BBB {
void method() {
// AAA a = new AAA();
// System.out.println(a.i);
System.out.println(i); // 객체 생성 없이 외부 클래스의 멤버 접근 가능
}
}
}
// BBB 클래스는 AAA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할 경우 내부 클래스로 만드는 것이 용이 (캡슐화)
class CCC {
// BBB b = new BBB();
}
public class Inner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BBB b = new BBB();
// b.method();
}
}
ch7-43, 44 내부 클래스의 종류와 특징
익명클래스는 클래스와 선언과 생성을 동시에 하는 클래스이다.
GUI 프로그램에서 이벤트 처리할 때 많이 쓰인다.
기본적으로 인스턴스 클래스 스태틱 클래스.... 와 같은 것은 기존에 익혔던 지역 변수 스태틱 변수와 같은 특징을 안다면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는 사실만 익히면 된다.
반응형
'자바의정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바의 정석 - 기초편] ch7-51,52 익명 클래스 (0) | 2022.03.24 |
---|---|
[자바의 정석 - 기초편] ch7-45~50 내부클래스의 제어자와 접근성 (0) | 2022.03.24 |
[자바의 정석 - 기초편] 7-40,41 디폴트 메서드와 static메서드에 대한 강의입니다. 객체지향개념의 마지막 강의 (0) | 2022.03.23 |
[자바의 정석 - 기초편] ch7-39 인터페이스의 장점2 (0) | 2022.03.23 |
[자바의 정석 - 기초편] ch7-39 인터페이스의장점1 (0) | 2022.03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