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호스트 설정
도메인과 연결되어 있는 IP : 호스트 / IP 해당되는 컴퓨터를 도메인에 등록하는 것이 호스트 설정이다.
두 개를 등록 가능하다.
하나의 도메인으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서버를 가리킬 수 있다.
www. / naverblog
하나의 도메인으로 다양한 ip로 연결할 수 있다.
데이터를 서비스하는 컴퓨터들을 호스트라고 한다.
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접속해서 그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의 호스트 등록을 이용하여 등록한다.
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각 서비스(네이버/티스토리)에 등록한다.
바로 등록이 안된. 캐시가 있어서 한시간에서 하루 이틀까지도 걸린다.
네임서버를 세팅한 다음에는 기다려야한다.
반응형
'서버 > 인프라 > 인터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st파일 (0) | 2021.06.25 |
---|---|
네임서버 (0) | 2021.06.25 |
포워딩 설정 : 도메인 포워딩 (0) | 2021.06.25 |
도메인 검색 및 구입 (0) | 2021.06.24 |
도메인이란? / 도메인과 url의 차이 (0) | 2021.06.24 |